그동안 만 나이 한국 나이로 불리던 나이 계산 방식이 만 나이로 통일되었습니다. 2023년 6월 28일부터 시행되는 만 나이 적용 시 달라지는 점과 만 나이 계산기로 나의 만 나이는 몇 살인지 알아보겠습니다.
만 나이 계산 방법
생일이 되어야 한 살 늘어남
만 나이는 태어난 날 기준으로 0살부터 시작하여 생일이 지날 때마다 1살씩 더하는 방식으로 계산합니다. 기존에 새해가 되면 모두 1살씩 나이를 먹는 게 아니라 개인별로 생일날부터 1살씩 늘어나게 됩니다.
0살로 태어나 생일이 지날 때마다 1살씩 나이를 더하는 방식으로 계산을 합니다. 1살이 되기 전에는 개월 수로 표시합니다.
만 나이 계산기
계산을 클릭하셔서 본인의 만 나이를 계산해 보실 수 있습니다.
주요 변경 사항과 변경이 없는 사항
변경 사항
- 법령에 만 나이 표기가 없어도 모두 만 나이를 의미
변경이 없는 사항
- 취학 의무 연령은 변화가 없음
- 국민연금 수령, 기초연금 수급 등은 현재도 만 나이 기준으로 하고 있으므로 동일
연 나이는 어떻게 되는지?
연 나이는 「청소년 보호법」, 「병역법」등 일부 법령에서 사용 중인데 불가피한 분야를 제외하고는 만 나이로 통일할 계획입니다. 각 개별법의 정비가 필요하므로 올해 말까지 정비안을 마련하여 정비를 추진할 예정입니다.
시행시기
2023년 6월 28일부터 시행합니다.
'사회경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앞으로 음주운전 차량 몰수합니다(상습, 중대음주 사망사고시) (0) | 2023.06.29 |
---|---|
여권 사진 규격(공식 여권 사진 규정) (0) | 2023.06.27 |
부산 해수욕장 개장일, 폐장일, 운영시간 표로 정리 (2) | 2023.06.21 |
디지털 타이머 콘센트 대신 타이머 스위치가 달린 콘센트를 구입한 이유 (0) | 2023.06.21 |
우티 프로모션코드 입력하고 택시 1만 원 할인받고 타기 (0) | 2023.06.20 |
댓글